일시 : 2023. 3.1 흐림

관음봉 높이 : 424

주차 : 내소사 주차장

경로 : 내소사 주차장-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원점회귀)

거리 : 편도 2.2KM

 

 

*내소사 주차비

최초 1시간 1100원, 이후 10분당 250원~300원

카드 가능하며 비수기 성수기 요금이 다르므로 확인필요.

 

등산일기를 쓰기 전에 내소사 주차비에 대해서 먼저 써야겠다.

 

관음봉 등산을 하려면 내소사 입장료(4천 원)를 끊어야

등산로 입구에 갈 수 있다.

 

하여 주차비가 비싸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일단 주차장에 주차를 했다.

 

대부분의 주차비는 하루에 얼마를 책정하는데

여기는 기본 1시간 1100원. 이후 10분당 250~300원 추가다.

 

빨리 대충 보라고요?

 

더구나

왜? 여기는 1시간 이후 10분당 250원을 추가하는지? 의문이다.

대부분의 절 주차료는 하루에 얼마로 아는데.

등산하는 사람에겐 역시 달갑지 않은 일이다.

 

아무튼 너무 오랜만의 등산이라 힘들어서 몇 번을 쉬고

12시가 넘어서야 겨우 내려와 입장료 낸 내소사 절을 둘러보고

주차비를 산정하니 7200원이 나왔다.

 

무인시스템이라 일단 계산을 했다.

 

내가 이렇게 많은 주차비를 낸 적이 또 어디서 있었나? 생각해 보니

아, 있다.

백담사 주차장이다.

인제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준다고 했다.

 

장학금을 위한 주차비?

 

내소사 주차장에 내가  오랜 시간 머문 것은 사실이다.

왜냐하면 다리가 아프고 컨디션이 안 좋아서 등산시간이 길어졌고

 

또 내소사 입장료가 있어서 절도 안 보고 간다는 건 좀 그래서

힘들지만 기어이 절까지 걸어갔다가 왔더니 이렇게 된 것이다.

 

아무리 그렇기로 여기가 

절 아닌가? 절!

도대체 요즈음은 절이나 산이나 산아래 동네나 모두 돈으로

돌아가는 세상이다.

 

관음봉이란 이름도 아깝다.

관음봉의 관음(觀音)은 관세음, 관세음보살이란 뜻.

 

관세음보살은

불교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보살. 중생을 위험으로부터 구제하는 보살로 ‘모든 곳을 살피는 분’이나 ‘세상의 주인’이라는 뜻을 가졌다. 아미타불의 현신으로 보는 이의 정신 수준에 따라 33가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일반인에게 가장 친숙하며 널리 숭상된다. 모든 중생이 해탈할 때까지 자신은 성불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세음보살의 공덕과 기적은 〈관음경>, 〈법화경〉 등 많은 불교 경전에 기록되어 있다.

그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의 화신으로서 이 세상에 나타나며, 이 때문에 쓰고 있는 보관(寶冠)에는 아미타불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그는 석가모니불의 입적 이후부터 미래불인 미륵불이 나타날 때까지, 난파, 화재, 암살, 도둑, 사나운 짐승들에 의한 피해 등으로부터 세상을 지켜주며.....  <다음 백과사전 발췌>

도둑으로부터 세상을 지켜준다는 자애로운 관세음보살은 이곳 관음봉에 없~~~ 다.

 

 

일주문 바로 앞이 매표소. 

절에 한발짝 들여놓은 순간부터  돈을 받겠다는 뜻인지?

 

절의 품격이 일주문에서부터 보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