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에 다녀왔다.

 

1980년대 ,

중국의 '죽의 장막'이 열릴즈음 모두들 백두산여행에 나섰지만,

나는 북한을 통해서 갈 수 있을때까지

기다려보자 했다.

 

그로부터 어언 30여 년.

 

북한과의 관계는 더 이상 나아지지 않았다.

 

하여,

더 늦기 전에 다녀오기로 했다.

 

백두산여행을 계획하던 중 친구 연숙이도 가고 싶다고 해서

함께 가기로 했다.

 

그리고 고운 한복을 준비했다.

 

인천공항에서 선양까지 비행기를 타고

선양에서 이도백하로 아침에 출발했다.

 

백두산 풍경구에 도착 후

3번의 전용버스로 갈아타고 천지 아래에 도착했다.

 

날씨는 화창하고 바람 한 점 없다.

하늘도 파랗고

공기도 상쾌했다.

 

모두들 3대가 덕을 쌓았다고 하고

가이드는 복이 많다고 난리법석을 떤다.

 

북파코스는 전용버스로 거의 정상까지 갈 수 있어 비교적 수월했다.

다만 사람이 너무 많아서 질릴 뿐.

 

 

 

 

천지는 너무 아름다웠고

찬란했다.

 

숨소리조차 들릴만큼 호수는 고요했고

물결조차 반짝이는 은하수를 닮아있었다.

 

오길 잘했다.

 

하늘에 감사하고

 

행복했다.

 

 

 

백두산: 나무위키 참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7] 북한과 중국 국경에 있는 화산으로 화산의 분류 체계에 따르면 성층화산활화산초화산에 속한다.

봉우리는 총 16개이고 최고봉은 해발 2,744m인 병사봉(兵使峰)으로 북한에 속해 있으며, 북한에서는 이를 장군봉으로 부른다(명칭 문단 참조). 따라서 중국을 통해 관광이 가능한 남한 사람은 정상에 오를 수는 없고 천지 너머에서 바라볼 수만 있다. 각 봉우리 정상 사이에는 칼데라 호수인 천지를 품었다. 백두산의 천지와 주변 수계는 압록강두만강송화강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풍수지리에서는 한반도의 '조종산()', 즉 모든 산맥의 시작점으로 여겨지며, 특히 근대 이후에는 민족의 영산(靈山)으로 자리매김하여 남북한 양쪽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상징물이 되었다. 분단 이후에도 행정구역이나 교육[8] 등 공식적인 부문에서는 남북 모두 백두산을 자국의 산으로   간주한다. [9][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