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12월

 

롱센의 홍야오족을 찾았다.

야오족 중에서도 화려한 복식을 하고 있는 그들을 만나기 위해서 이다.

 

 관음각에 숙소를 정하고

추위에 떨며 밤을 보냈다.

불기운은 하나도 없고 오로지 솜이불에 의지한 채

옷을 몽땅 입고 자던 그 추운 기억들.

 

 

 

 

 

 왼쪽 할머니는 한쪽 눈이 잘못되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말할때 사람을 똑바로 쳐다보지 않는 습관이 있다.

 

하지만 목소리는 너무나 아름답다.

산을 오르며 그녀가 부르던 홍야오족 노래를 녹음하지 못한것이 너무 안타깝다.

 

더구나 손놀림은 어찌나 빠른지

어느틈에 수를 놓아 손수건 한장을 사라고 내놓는다.

   

왼쪽의 여인은 2001년 이후  나와 한 번 더 만날 수 있었는데

홍야오족의 긴 머리는 예로부터 유명한 듯..

 

약간의 돈을 요구하더니

긴 머리채를 주저없이 풀어헤쳐 그녀들의 올림머리 모양을 재현해 보였다.

 

아마도 태어나면서 계속 머리를 기르는듯 하다.

 

가끔은 가채를 머리에 묶어 올린 홍야오족 여자들도 있었는데

이 여인의 머리칼은 진짜였다.

 

롱센의 티티엔(梯田계단식 논)은 한 겨울이라

멋진 모습을 보기 어려웠다.

봄이 되어 논에 물을 대면 장관이라고 한다.

 

 

  

이곳엔 장족도 살고 있었는데

이곳 장족은 티벳의 장족(藏族)과 달리 장족(壯族)이라 불린다.

아마 광시장족할때의 장족인것 같다.

 

평상시 그네들 복식은크게 유별나지 않다.

아마  축제때나 명절이 되야 그들의 복식을 볼수 있을 것 같다.

 

 

 

이후.....

세월은 흘러...

2003년 겨울

다시 롱센 야오족을 찾았다.

 

사진속의 그녀들을 다시 만날 수 있었는데

벌써 둘째를 낳았고

그녀의 집도 둘러볼 수 있었다.

 

 

 

 

 물론 한쪽 눈이 안좋은 할머니도 다시 만났고...

두분 다 어렵지만은 않은 살림을 사는 것 같아

다소 안심했다.

 

단지 그녀집에서 먹은 닭값이 넘 비싸서

약간 불쾌해지려는 것만 빼고는... 

 

 

이젠 그녀들 뿐만 아니라

관광지가 되버린 까닭에

많은 야오족 여인들이 머리를 풀어 관광객을 모으는 일이 흔해지고

관광상품이 되어버렸다.

 

 

 한번 다녀 온 곳을 다시 가기란 참 어렵고도 쉬운 일이다.

중국처럼 넓은 곳인경우는 더 그렇다.

 

두번의 인연으로 만나게 된 홍야오족의 두 여인!

 

 

 

 

 

 

 

 

 

 

 

 

 

2001년 12월

 

지도 한장에 의지한 채

귀동냥으로만 듣던 정양 풍우교를 찾았다.

 

 

  

주로 동족들이 거주하는 곳이지만

오면서 만난 묘족과 화려한

홍야오족의 모습을 보고

이제 막 소수민족에 반해가기 시작했다.

 

 

 

동족 어린이들.

 

 

 

 

머리에 흰 수건을 쓴 모습이 전에 우리 엄마들이

일할때 수건을 쓰던 모습과 언듯 비슷했다.

 

 

 

 

 

그로부터 몇년이 지난

 

2004년 2월,

 

이곳을 다시 찾은 날은

우연히도 신년행사가 벌어지고 있는 날이었다.

 

구정이 며칠 지난 즈음으로 기억하는데

온 동네가 들썩거릴 정도로 이 행사는 거창했다.

 

누군지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그네들이 믿고 있는 듯한 토속神을 수레에 싣고

행사장으로 가는 길에

 

동네 아이들이 죄다 모여

장난치듯 따라가고 있다.

  

전통복장에 검은 썬그라스(날씨 흐림),

그리고 챙이 넓은 카우보이 모자! 가 인상적이다.

 

 

 

  

게다가 여기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정말 예쁜 소년들을 꽃처럼 단장시켜

 

행사에 참여시킨 것이다.

 

이 아름다운 행렬을 보게 된 것 정말

 

행운이었다.

 

 

행사장에 도착하니 어른들에게 전통주를 대접하고

손님들에게도 권한다.

 

풍성하게 차려진 음식과 함께

새해의 정을 나누는 흥겨운 분위기로

동네는 한동안 시끌벅적 하다.

 

이런 동네잔치가 얼마 전 우리나라에도 있었는데... 이젠

 보기 드믈게 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