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여행을 준비하며 가장 마음에 둔 곳은 '한라산 백록담'이었다.
나는 올해 산을 다니기로 마음먹고 여건이 되는대로 등산을 했다.
한해를 이제 한 달여 남겨 두고 가장 힘든 코스인 한라산을 준비하며
과연 허약체질인 내가 해 낼 수 있을까?를 몇 번이고 되물었다.
많은 생각끝에
결국 가는 데까지 가보기로 결정했다.
늘 그렇듯 꼭 정상을 밟아야만 등산인가!
산을 가기 위해 마음을 가다듬고 간소한 복장과 간단한 먹거리를 준비하는 과정
그 자체가 산을 가는 가장 소중한 의미란 것이 내 생각이다.
나의 경우 산을 오르기 시작하는 처음엔 머릿속이 꽤 복잡하다.
힘들기도 하고 잡념도 따라오고,
그 고비를 지나고 나면 오직 걷고 오를 뿐,
모든 것에서 해방되는 기쁨이 따라온다.
이 기쁨과 가벼워짐을 알고 난 후
나는 산행이 더욱 즐거워졌다.
한라산은 무리였지만 가는 데까지 라는 보험을 들고 시작했다.
새벽에 일어나 택시로 성판악에 갔다. 입산 시각은 6시.
겨울이라 캄캄한 등산로 초입엔 다이소에서 산 헤드렌턴을 켜고 갔다.
내 뒤에 서 있던 2,3,4번째 사람들이 쏜살같이 나를 앞질러 가버리자
마음이 흔들렸다.
뒤쳐질 거란 두려움과, 낙오돼서 119에 실리면 어쩌나 등등.
전혀 상관없는 잡념임에도
순간순간 별별 생각들이 나를 괴롭혔다.
내 건강과 내 발걸음의 속도를 남과 비교한다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한지는
산을 오르다 보면 저절로 알게 된다.
하지만 늘 반복되는 남과의 비교는 결국 등산을 망치게 되고 몸을 망치게 된다.
다시 나를 바라보고 나에게 집중하며 걷다 보니
어느덧 무사히 진달래 대피소까지 늦지 않게 도착할 수 있었다.
나는 잠시 화장실만 다녀오고 출발했다.
한라산은 의외로 지난번 다녀온 치악산보다 완만해서 걱정한 만큼은 아니었다.
눈 덮인 한라산 정상이 아득히 보이는 지점에서부터는 아이젠을 신고 걸었다.
내 호흡에만 집중하며 천천히 오르다 보니
어느덧 삼대가 복을 지어야 본다는 푸른 하늘을 향해 우뚝 서 있는 한라산 백록담에 도착했다.
정상엔 거센 바람이 불어 몸을 가누기도 힘들었지만,
잠깐 인증사진을 찍고 나는 바로 하산하기 시작했다.
그 엄청난 바람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라면과 음식을 먹느라 장사진을 치고 있었다.
진달래 대피소에 내려와 늦은 점심으로 차가운 김밥을 반만 먹고 다시 길을 나섰다.
내려가는 길은 정말 지루했다.
등산은 내리막이 더 힘들기에 미리 파스를 붙이고 무릎보호대까지 했지만,
계속되는 지루한 내리막에 무릎이 아파왔다.
무리하지 않으려 천천히, 아주 조심스럽게 긴 내리막을 지나고
드디어 하산을 완료 시간은 3시 40분.
새벽 3시에 일어나 6시부터 시작한 산행이 오후 3시 40분에 끝났다.
나의 산행에 또 한 번 잊지 못할 추억이 생겼다.
281번 버스로 서귀포 숙소로 돌아와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고
무릎에 다시 파스를 붙인 후 꿀잠을 자고 일어나니
몸이 개운하다.
앞으로도 나는
가는 데까지 가는 산행을 계속할 것이다.
* 등산 자료
1. 준비물 : 헤드렌턴, 물, 장갑, 아이젠, 바람막이, 점심
2. 가는 방법 : 서귀포- 성판악까지 택시(요금 25000원)
성판악 가는 버스 281번(첫차는 이마트 앞 6시 10분 출발)
3. 주의할 점 : 인터넷으로 사전 예약해야 함
'가끔은 여행(국내) >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즐거운 산행 모음 (0) | 2022.01.03 |
---|---|
소백산 등산-산림청 100대명산 (0) | 2021.12.09 |
남해 '금산' 등산(산림청 100대 명산)과 보리암, 쌍홍문의 가을 풍경 (0) | 2021.11.22 |
거제도 여행, 망산(望山) 천하일경을 오르다 (0) | 2021.11.22 |
봉화 청량산 장인봉 등산-산림청 100대 명산(동영상)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