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위엔(紅原) 초원은 사천성 북쪽 아빠장족강족 자치주에 있습니다.

규모가 크면서도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가도 가도 보이는 건 초원뿐...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초원이란 이런곳이구나... ...

하고 절로 고개가 끄떡여지는 그런 곳 입니다.

잠깐 지도를 볼까요...

 

곳곳엔 넓은 초원과 마오뉘우(毛牛)라고도 하고

보통 야크(yak)라고 부르는 털소와

양,말 등이 한가롭게 풀을 뜯는 모습이 눈에 들어 옵니다. 

 

 

도로를 지나는 야크떼들을 위해 가던 차가 멈추기 일쑤이고요...

 

 

마을에 들어서니 초원의 도시답게

대부분 말을 타고 다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마을에서 조금 벗어난 곳은 바로 초원이구요,

그 초원에서 저는 한 가족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반마초라는 이름을 가진 엄마와 4남매 입니다.

 

 이들은 초원에서 전형적인 유목민 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아빠는 도시로 일을 하러 나갔고

모든 일은 엄마 반마초가 맡아서 하고 있었습니다.

 

이 장족 여인은 (모자에 꽤 관심이 많아서 제 모자를 잠깐 쓰고 있네요...ㅎ ㅎ)

남편없이 드넓은 초원에서 개와 아이들과 야크와 살고 있었습니다.

 손님을 보고 어느틈에 화장도 하고 나와서 반겨줍니다.

손님을 반기는 것 또한 이들 장족들의 긍정적인 성품을 보는것 같아

저도 마음이 놓였습니다.

  

잠시 집안(천막 안)을 둘러보는 사이

보이지 않던 딸 반마치준이 야크를 몰고 돌아 왔습니다.

뜻밖에도 여리디 여린 소녀가 아침이면 야크를 몰고 나갔다가

저녁이면 돌아 온다니 새삼 우리나라의 9살 어린이들을 떠올려봅니다.

 

수줍은 미소와 해맑은 얼굴이 너무나 아름다운 9살짜리 반마치준은

한 눈에도 똑똑해 보이는 소녀였습니다.

 

 소녀가 몰고 온 야크를

장남과 엄마가 애써 묶어놓고 있습니다.

천막주위에 많은 밧줄이 있었는데 야크들을 묶어 놓아야

내일 아침까지 안심할 수 있습니다.

 

힘쎈 야크를 끌어와서 묶느라 애쓰는 엄마를 도우는 건

역시!

믿음직한 장남입니다.

  

현재 중국은 많은 변화와 물질적 변혁을 겪고 있는 상황이지만

소수민족들 또한 그 소용돌이에서 예외는 아닙니다.

더 많은 보수를 위해 가장은 도시로 나가고

젊은 엄마와 4남매는 아빠장족의 전통을 근근히 유지하며

초원의 유목민으로 살고있습니다.

 

장차 이 아이들이 자라서 유목민으로의 삶을 

살아갈지는 모르겠습니다.

지금 이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고 있고 한어를 배우며

초원과 도시의 이중적 삶을 살아가고 있기에 말입니다.

 

어떤 삶이 행복하다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만..

먼 조상부터 이들 삶의 터전인 이 초원에서의 삶을

떠나서도 이들이 행복하길 기원 할 뿐입니다.

 

엄마가 야크와 씨름하는 동안

 쌍둥이는 팔씨름도 하고

  

야크를 다 묶은 엄마는 바지런히 또 할일을 찾아냅니다.

야크젖을 짜는 일 입니다.

 

소수민족 여인들의 삶은

나그네가 보기에 무척 힘들어 보입니다.

눈 코 뜰새 없이 늘~ 일을 하며 지냅니다.

집안 일이며, 동물을 거두는 일이며, 엄마와 아내의 일까지..

거기에 자수도 하고, 옷감도 짜고, 염색도 하고

농사도 짓고..

그러나 이 여인의 입가에 번지는 미소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미 한어를 익히고 한자를 쓸 줄 아는 형과 

똘똘한 소녀 반마치준은

장족들의 삶을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나그네를 즐겁게 해주기 위해 준비한 이 가족들의

마지막 이벤트는

장족들의 고유의상!

 

시대가 바뀌어 초원에서의 삶이 사라진다해도

아직 이들의 피속엔

자랑스런 초원의 아빠장족의 붉은 피가 흐르고 있다는 걸

나그네는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화후(花湖)는 사천성 아빠장족강족자치州 루오얼까이현 중부에 있습니다.

熱爾草原의 푸른 보석이라 일컬어지며,

루오얼까이 시내 곳곳에

이 호수의 사진이 붙어있습니다.

 

 

사진만 보고도 너무 아름다운 호수일것 같아

빵차를 빌려 아름다운 초원을 지날때까지만 하더라도

날씨는 참 좋았습니다.

 

초원의 특성상 멀리 보이는 먹구름이 그리 가까이 있다고는

미처 생각지 못했는데,

호수에 도착할 즈음... 비는 폭우로 변해버렸습니다.

 정문에서 표를 끊고

호수까지는 버스를 이용하거나 말을 빌려서 가는데

비가와서 조금 망설였습니다.

하지만 여기까지 왔는데....

 

비바람을 맞으며 10여분 지나니 호수가 보였습니다.

 

 물이 많을 땐 호수의 범위가 꽤 넓어지나 봅니다.

호수 주변으로 기-인 나무판자가 놓여있어서

걷기도 좋고 제법 운치도 있습니다.

 

멀리 호수를 바라볼 수 있는 높은 전망대도 있습니다.

 

비가 오다가 그치고 구름사이로 가끔씩 해가 보입니다.

왠일인지 제가 사는 강릉의 경포대를 떠 올립니다.

규모는 이곳이 훨씬 크지만,

경포호수가 훨씬 아름답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여행중에 만난 이 조용한 호수가

마음을 차분하게 해줍니다.

근처의 목책에 기대

이런저런 생각에 잠기며 시간을 보냅니다.

 

날이 저무는것도 잊고 앉아 있다가

하루일을 끝내고 말을 타고 돌아오는 사람들을 만나자

정신이 번쩍 들었습니다.

이 넓은 초원엔 이제 사람도 드물고

정문까지 태워줄 차도 보이지 않습니다.

 

 


허둥지둥 급한 발걸음을 옮기는데

이제 초원의 집으로 돌아온 양떼가 눈길을 끕니다.

제 각각 주인을 달리하기에

하얀털에 물감이 묻어 있습니다.

 

 이제 초원에서 잠이 들 양떼는 오히려

집(?)으로 향하는 여행자를 배웅합니다.

 

*루오얼까이에서 화후까지 빵차대절-125위엔(2인)

*화후문표-70위엔(1인)

*정문에서 호수까지 이동하는 버스-20위엔(1인)

*맛있게 먹은 음식-마오차이(冒菜)10원,짬봉혹은 육개장 맛과 비슷함

 

 

다자스(達札寺)는

사천성 북쪽에 있는 루오얼까이(若爾盖)에 있는 사원으로

티벳의학으로 유명한 곳이다.

 

벳의학을 하는 어떤 라마는

 티벳의학은 꽤 인정받는 학문이라고 하며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다.

 

티벳 전통의술의 기본은

우리 한의학이나 중국 등 동양의술과 인식을 같이 한다.

맥을 짚어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고

약재를 혼합해 탕제나 알약으로 처방하여

 신체리듬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이나

환자의 정신상태를 관찰하고 마음가짐을 강조하는 것 등

 주변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보는 것이 우리 한의학과 같다

- 여동완의 <티벳속으로> 중에서 -

 

감기에 걸리면 먹으라고 라마가 준 환약이 있는데

아직 사용해보진 못했습니다.

 

명성에 걸맞게 다자스의 규모는 꽤 커 보입니다.

  



 

 황금색으로 칠한 벽이 너무 아름답습니다.

사원의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벽 입니다.

 

  

마니륜을 돌리며 사원을 한바퀴 휘 돌고나면 다리도 튼튼해지고

건강에도 좋을 듯 합니다.

 


 


 

그래서 그런가요...? 옴마니반메훔을 외우며

순례하는 노인들의 발걸음이 어찌나 빠른지

이분들과 속도를 같이 하려면

꽤나 숨이 찹니다.

 

 

사원을 돌다보니

빨래를 하고 있는 스님도 있고,

 

  마니차를 돌리며 잠시 쉬어가는 노인을 만나기도 하고

 

 



 

사원 한켠에서 사슴과 대화하는 라마를 만나기도 합니다.

 

 

 

기도란 무엇일까요?

<神과 나누는 대화>라고 영세받을 때 배웠던 것 같습니다.

 

나그네의 눈에 이곳 장족들은

항상 기도를 하고 있는 듯 보였습니다.

항상 神과 소통하고 있는 듯 보였습니다!

 

 

 

 

 

루오얼까이(若爾盖)는 사천성 아빠장족 자치주의 북쪽 끝에 있는 작은 도시입니다.

주변의 여느곳처럼 푸른 초원이 끝없이 펼쳐져 있구요,

동물들의 잦은 출현으로 가던 차도 멈춰야만 하는 곳입니다.


 

 

 이곳 주변엔 다자스(達札寺)라는 티벳의학으로 유명한 사원과

아름다운 호수풍광이 그만인 화후(花湖)가 있는 곳입니다.

 

 

초원엔 말과 양,소(야크)가 지천입니다.

 

 

 루로얼까이 시내는 그다지 독특한 풍광은 없어 보이는 그러저러한 인상입니다만,

 숙소근처에서 우연히 버터 만드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티벳장족들에게 버터는 꽤 소중한 것 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버터를 만드는 모녀의 모습도 인상적이라 잠시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처음 과정은 못 보고 그만 정리과정만 보게 됐는데요...

큰 그릇에 버터를 모은 뒤 잘 주무르고 다지는 모습입니다.

 

 

티벳장족들은 버터를 가지고 茶도 만들어 먹고(수유차-버터와 차를 섞어 만든 차)

얼굴에도 바르고, 사원에선 불도 밝히고 그러죠...

우리나라의 소와 마찬가지로 티벳인들에게 야크는 하나도 버릴곳이 없는 동물입니다.

고기는 고기대로 먹고, 뼈는 장식용으로도 쓰고,

 기름은 버터를 만들고, 털과 가죽은 옷을 만들어 입고...

그러고 보니 아낌없이 주는 야크입니다.

 

옛 말에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죽는다는데

야크는 우리에게 모든 걸 남기고 가는군요.

얘기가 딴곳으로 갔습니다...

 

버터를 잘 다듬기위해 바닥에 놓고 메주 만들듯이 쳐댑니다.

 

 

 다 다듬어진 버터는 꽤 크죠?

 

버터를 만들던 아이엄마는 사진을 찍으려니까

입에까지 두르고 있던 목도리를 살짝 벗고 나옵니다.

 

 

루오얼까이는 해발 3471m에 있으며

탕커(唐克)에서 1시간 거리(15원)에 있습니다.

묵은곳은 草原旅舍(2인40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