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여행 중 마곡사가 백범 김구선생과 관련 있는 곳임을 알았다. 다음은 마곡사 문화재 해설사의 설명이다.

김구 선생은 일제 치하에서 일본인을 죽이고 인천감옥에 갇혀있다가 탈옥하여 이곳 마곡사에서 상좌가 되었다고 한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공주를 다시 찾은 백범은 마곡사 경내에 무궁화와 향나무를 심었다고 하는데 지금 무궁화는 보이지 않고 향나무만 남아 있다.

 

백범 선생은 서산대사가 지었다는 '눈 덮인 벌판에서'를 친필로 써서 주변인들에게 즐겨 주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 내가 마곡사에 들렀을 때 경내에 백범당이 있고 그 곳에 백범이 즐겨 쓰셨다는 서산대사의 '눈 덮인 들판에서'가 있었다.  

마곡사 백범당과 보석사 은행나무에는 물론 보석사 주련에도 이 시가 적혀 있어 관심을 갖고 찾아 보니, 이 시는 우리가 알고 있던 서산대사의 시가 아니라 이양연의 시임을 한양대 정민 교수가 확인해 주었다. 

원문은 이러하다.

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日我行跡

遂作後日程 

이 시는 서산대사의 시가 아니라 조선 후기 시인 이양연의 것이다.

한양대 정민교수에 의하면 이 시가 서산대사의 시가 아니라는 논란은 이전부터 있어왔고 서산대사의 문집인 청허당집(淸虛堂集)에도 실려있지 않다고 한다. 

이양연은 조선 정조, 순조 연간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이고 광평대군의 후손이라고 한다.

1917년 편찬된 大東詩選 卷之八 張三十에 이 시는 이양연의 시로 나와 있다고 한다.

보석사(寶石寺)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진악산 남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보석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의 말사이다. 현재의 도량은 규모가 작은 편이나 한 때는 이곳에 강원이 있어 많은 학승이 배출되었으며 31 본산 중 하나로 전라북도 일원의 33개 말사를 통괄한 사찰이었다. 조구 스님이 창건 당시 절 앞산의 금광에서 채굴된 금으로 불상을 조성하였다 하여 이름을 보석사라 하였다.

현재 보석사에는 1990년 천연기념물 제365호로 지정된 은행나무와 유형문화재 143호 대웅전, 문화재 자료 29호인 의선각이 있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882년 명성왕후가 다시 세웠다.

1. 옥천향교

 

2. 육영수 생가

 

3. 옥주 사마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