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  겨울이면 산정호수에 갔다. 지금보다 훨씬 추웠던 그 시절, 하얀 피겨스케이트를 타는 소녀를 보거나 오색으로 색칠한 팽이를 돌리는 아이들을 보거나 멋진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선수들이 넓은 산정 호수의 빙판을 누비는 것을 보면 살을 에는 추위도 잊을 수 있었다. 걸어서 집으로 돌아올 땐 온몸이 꽁꽁 얼고 코와 눈썹에도 고드름이 달릴 정도로 춥고 다리가 아팠다. 지금은 아름다운 그 추억들이 새삼 그립다.

 

 

빙점하가 되면 물결은 백색 얼음 밑에 가둬진다. 어느 순간에도 흔들렸기 때문에 물의 결이나 동심원이 그대로 비치는 부분도 있다.

....... 

어쩌면 강도 영영 잃고 싶지 않은 것이 있어, 소리를 얼려두나 보다. 어느 때 산과 땅을 울리도록 그리운 소리가 터져 나오기를 기다리며, 얼음 모자를 쓰고 있는지도  -시와 산책 中-

 

 

 

 

1월의 맹추위가 지나고 2월이 다가오면 호수에선 알 수 없는 굉음이 들렸다. 어른들은 호수 깊은 곳에서 얼음이 깨지는 소리라고 했다. 그 소리는 천지가 개벽할 만큼 크고 굉장했다. 한 계절이 닫히려면 얼음도 기지개를 켜야 했나 보다. 그럴 때면 호수 가운데까지 걸어가는 일이 무서웠다. 조금씩 조금씩 발을 옮겨보지만 어느 순간에 이르면 누구라고 할 것 없이 친구들은 재빨리 기슭으로 뛰어오곤 했다.

 

가끔씩 동네 남자아이들은 그 얼음의 두께와 단단함을 확인하려는 듯 돌덩이를 던지곤 했다. 웬만한 큰 돌멩이를 던져봐야 꿈쩍도 하지 않을 만큼 단단하게 언 호수는 그와는 정 반대의 순간에 갑자기 굉음을 내어 아이들을 혼비백산하게 했다.

 

2월이 되어 호수 표면이 푸석푸석해지면 어른들은 호수 근처에도 못가게 했다. 위험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후로도 한동안 얼음 출입은 금지되고 겨울은 온전히 겨울의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봄의 마음으로 겨울을 보면, 더구나 추운것을 싫어하는 나의 마음으로 보면 겨울은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계절이고 움츠리는 계절이고 추워서 더 서러운 계절이다. 그러나 겨울의 마음으로 겨울을 보면 겨울은 지금도 견고한 얼음 속에서 자신의 계절을 다 하고 있는 것이다. 겨울이 겨울의 시간을 다해야  봄은 오고 얼음은 풀리며 우리는 따뜻함에 감사할 것이다. 겨울의 지순한 시간을 까마득히 잊고서... 

 

 

1월은 추운 달, 겨울의 가장 중심에 있는 달.

 

하지만 봄을 위해서도 겨울은 필요하고, 한 해의 시작을 위해서도 겨울은 필요하고, 따뜻함을 위해서도 겨울은 필요하다.

 

맞다! 세상 모든 것의 따뜻함을 위해 겨울은 존재하나니 나는 겨울의 마음을 좀 더 헤아려야 할까 보다.

 

 

 

용인의 에르베플라워에 다녀왔다.

식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다녀오는 성지와 같은 곳이다. '남사화훼단지' 중 한 곳으로 한겨울에도 꽃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 있으면 활짝 핀 꽃들이며 푸릇푸릇한 식물들의 싱그러움에 반해 한 겨울 추위와 칼바람은 잊곤 한다.

 

다양한 종류의 화초와 화분, 신품종과 근래 유행하는 각종 식물구경에 분갈이 서비스는 덤이다.

 

 

 

이곳에서는 마음을 단단히 먹지 않으면, 미리 무엇을 살지 미리 계획하고 오지 않으면, 나도 모르게 카트 가득 화분을 담게 된다. 나중에 계산대에 가서 살짝 후회도 하지만 미처 생각지 못한 꽃이나 식물을 발견하면 쉽게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다.

 

 

멋진 화분까지 있어 한번 가면 서너 시간은 금방 지나간다.

 

 

대명석곡 앞에서 한참을 서성였다. 결국 데려오진 않았다.

 

 

집에 올 때까지 갈등했던 동백.

지난봄 백양사에서 데려온 동백이 지금 잘 자라고 있어 새로 들이지 않았지만 색깔별로 동백을 한 번 길러보고 싶다.

 

 

 

겨울이 없으면 꽃도 없었을 테니 그동안 겨울은 참 억울했겠다.

그토록 경원시하고 곁도 안 주고 심드렁한 채 어서 지나가기만을 기다렸으니 말이다.

 

겨울의 마음이 되어 꽃을 바라보니 겨울은 오히려 따뜻함을 가득 품은 계절이었구나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