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2022.9.23

높이 : 1577m ( 편도 4.1Km)

출발지 : 최단코스,  계방산 생태관리센터( *티맵 사용, 운두령 휴게소라고 치면 안 나올 수 있음)

경로 : 계방산 생태관리센터-쉼터-전망대-계방산 정상

특징 : 등산로에 화장실 없음, 계곡 없음

 

 

 

계방산은 계수나무 계(桂), 꽃다울 방(芳) 자를 쓴다. 계수나무 향기가 나는 산이라는 뜻이다.

남한에서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5번째로 높은 산이다.

맑은 날 설악산이 멀리 보이고, 겨울 눈꽃이 멋진 곳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주 가리산을 시작으로 강원도 산들을 둘러보기로 했다.

아침저녁 쌀쌀한 기운이 오히려 상쾌하고

산으로 가야만 할 것 같은 조바심이 나는걸 보니

 

역시 가을은 좋은 계절이다.

 

아침에 좀 늦게 일어났지만 늘 가지고 다니는 보라색 배낭에 간단한 짐을 꾸리고

홍천으로 향했다.

아는 길이라고 내비를 무시하고 가다가 길을 잘못 들어

돌아서 가느라 시간을 조금 지체했다.

 

내비는 영동고속도로 속사 IC로 안내했고 내차 내비는 검색이 안되어 T 맵을 이용 해서

운두령 휴게소가 아닌, <계방산 생태관리센터>에 무사히 도착했다.

 

 

아침 8시라 주차장도 빈자리가 많고 사람도 없다.

숲길은 아직 초록 일색이고, 등산로는 나뭇잎과 도토리로 푸근하다.

 

바람은 솔솔 불고, 숲의 향기는 더없이 좋다.

늘 느끼지만 이런 숲길, 산행은 나를 행복하게 한다.

이이상 더 좋을 수 없다.

 

계방산은 지난번 가리산처럼 몰려다니는 등산객이 없어서 정말 고요했다.

 

도토리 떨어지는 소리 툭!

 

나뭇잎 떨어지는 소리 바스락!

 

미풍에 흔들리는 나뭇잎들의 작은 몸짓들,

 

하늘이 보이지 않을 만큼 숲이 우거진 틈새로 빛이 들어온다.

 

빛은 흙 위에 또는 바위 위에 작은 그림을 그려놓았다.

 

빛을 쫓으며 놀다 보니 어느새 전망대에 올랐다.

멀리 설악산도 보인다.

 

언제나 대청봉을 오를까?

 

 

 

드디어 정상에 올랐다.

 

하늘은 잉크처럼 새파랗고 햇살은 뜨겁다.

 

사위는 고요하고 나는 햇빛과 공기를 마음껏 누린다.

 

정상석 뒤로 가니 고산자 윤선도의 대동여지도 한자를 조합해서

'계방산' 글자를 새겼다고 적혀 있다.

 

어쩐지~~~ 글자가 너무 멋지다 했다!

 

 

하산 중에 바람이 미친 듯 불어대더니

돌아오는 고속도로에서 비를 맞았다.

아주 조금.

 

아무튼 등산 중에 가장 좋은 날씨를 선보인 자연에 감사하며

오늘 등산 일기 끝.

 

주소 : 여주시 산북면 주어리 292

주차 : 카페 앞

특징 : 한국 건축대상 건축물과 사진집

단점 : 음료 가격이 매우 비쌈, 7천 원대

 

 

수연 목서는 상호가 아름답다.

건물 또한 멋지다.

 

하지만 주변은 황량하고 아직 정리가 안된 채 집만 덩그러니 있다.

 

음료는 어찌나 비싸던지...ㅎㅎ

 

덕분에 책을 열심히 읽을 수 있었다.

 

주로 사진집이 많았는데 주인이 사진작가인 듯싶다.

 

사진집 속에서 이종만 선생님의 책을 발견했다. '숲'

 

 

 

오래전 이종만 선생님의 '섭리' 작품도 좋았었다.

 

무례하지만 나의 시선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 더 좋았는지도 모른다.

 

대관령, 오대산 등을 오르내리며 만난 나무와 숲이 참 좋다.

 

사진으로 표현된 선생님의 흑백의 농담은 단정하고 아련하다.

 

 

카페는 실망이었고, 사진집은 너무 좋았던 하루!

 

 

 

*가리산(加里山) 등산 

높이 : 1051m

위치 : 홍천군과 춘천시

주차 : A 또는 B주차장

소요시간 및 거리 : 정상까지 편도 2.8Km (왕복  4시간 소요)

경유 : 가리산 자연휴양림 A주차장- 합수곡-무쇠 말재-가리산 정상(원점 회귀)

 

 

긴 여름 내내 덥다고 운동을 소흘히했다.

살짝 비 소식도 있고 태풍 예고도 있지만

걱정할 만큼은 아니라 일찍 일어나

가리산 자연휴양림 A주차장에 7시 30분에 도착했다.

 

예보엔 자정에 비가 오는 걸로 나왔는데 가는 길에 비가 제법 와서 걱정스러웠다.

주차장에 도착하니 이른 시간이라 매표도 없고 주차비도 안 받아서

주차 후 바로 등산 채비를 했다.

 

오랜만에 신어보는 등산화, 4년 정도 신어서 발엔 익숙하지만

밑창이 많이 닳아서 오늘처럼 비가 오면 미끄러워 조심해야 한다.

 

초입에 있는 '해충기피제 자동분사기'로 온몸 샤워를 하고

 

 

강우레이더 쪽으로 방향을 잡고 보니

짙은 숲길이라 비가 조금씩 오지만 걸을만했다.

 

나의 경우 항상 등산 초입 1시간 정도가 힘들다.

발은 무겁고 날씨에 대한 걱정과 가랑비에 머리카락이 흠뻑 젖어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비가 더 오기 전에 하산해야 하나?

 

걸으며 별별 생각을 했지만,

내가 몇 번이나 비를 맞으며 산길을 걸어볼까 하는 생각이 들자

오히려 감사하는 마음과 즐거운 마음이 들었다.

 

비 덕분에 숲은 더욱 짙은 나무향기와 흙냄새로 가득했고,

계속 '툭'하고 떨어지는 도토리는 리드미컬하게 빗방울과  합주를 한다.

 

드물게 한 번씩 바람이 불면

춤을 추듯 너울거리는 나뭇잎들, 

 

시공간을 아우르는 숲의 공연은 가끔씩

나를 행복하게 한다.

 

문득 숨을 거둘 때 너무 고통스럽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기도를 해 본다.

 

힘들 때 지금 이 숲의 고요와 리듬과

향기를 떠올리면

참 좋겠는 생각.

...... ,

 

 

하지만,

늦더위에 습도도 높고 가랑비에 옷이 젖어 질척거리는 복병을 만나

나의 가을 첫 등산길은 쉽지 않았다.

정상엔 완전 안개와 비로 앞을 볼 수 없는 지경이라

소양호는 볼 수도 없었고

갑자기 비가 내려 간식도 못 먹고

하산길로 들어섰다.

 

다행히 금세 비도 그치고 날씨가 맑아져서

변덕스러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가을 첫 등산을 마칠 수 있었다.

 

 

홍천을 빠져나오기 전에 좀 늦은 점심을 먹으러 철정리에 있는 '할머니 청국장'에 갔다.

늦은 점심시간이라 손님도 다 빠져나가

편하게 먹을 수 있었다.

 

 

기대보다 훨씬 맛있는 비지장을 먹었다.

 

 

 

 

 

 

원주역이 이전하고 구도심은 더욱더 빨리 쇠락해지고 있다.

그 옛날의 영화는 뒤로한 채

지금은 낡고 곧 허물어질 듯 간신히 지탱하고 있는 건물이 위태롭게만 보인다.

 

이곳에 숨을 불어넣는 신나는 예술시장이 조성되어 있다.

 

원주의 예술가와 원주시민이 만들어가는 학성동 예술시장이 그것이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이곳이 걸음이 되어 좀 더 활성화되길 기대해 본다.

 

 

 

 

1. 눈치없는 도서관

 

 

 

2. 역전시장 시민예술학교

 

 

 

3. 동네미술관

 

 

 

4. 박찬우 미로 갤러리 예술공간

 

 

 

 

5. 마을정원

 

 

 

6. 호치민 쌀국수

 

 

7. 기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