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사와 고양이

-대흥사는 백제시대에 창건했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 휴정스님의 의발이 전해지고, 서산대사의 법맥을 이는 13대 종사와 13대 강사가 배출되면서 禪과 敎를 겸비한 팔도의 종원이 되었다. 1789년에는 정조대왕으로부터 '표충사'편액을 하사 받아 서산대사의 충의를 기리게 되었다. 천분의 부처님을 모신 천불전과 서산대사 부도 등의 성보문화재가 있다.

 

-2021년 5월 14일 새벽 5시, 일찍 기상해서 준비를 마치고 6시에 가련봉 등산을 위해 대흥사 일주문을 들어섰다. 어제처럼 기온은 높지만(낮기온 32도) 안개가 낀 듯 날이 흐렸다. 아무도 없는 이른 아침이라 풀냄새와 나무 냄새,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가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언제나 그렇듯 미지의 산이라 조금의 두려움과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조바심이 교차한다. 날이 점점 흐리더니 사찰 공사로 정신이 없는 대흥사를 지나고 숲길로 들어서자 어둠이 더 짙어진다.

나는 대흥사-일지암-만안재-가련봉-대흥사 코스로 길을 잡았다.

10시 전에 퇴실해야 하는데 등산 후 씻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단 코스로 정한것이다.

 

-지난번에 왔던 일지암 이정표까지는 시멘트로 포장이 되어 경사가 높긴 하지만 수월했다. 이후 돌길과 가파른 구간이 군데군데 있었다. 아직 등산 초보에 저질체력인 나를 다독이며 머릿속을 떠도는 온갖 잡념도 하나씩 둘씩 내려놓고 호흡에 집중해 본다. 그렇게 오르다 보니 만안재에 도착했다. 숲에서 밖으로 나온 만일재 풍경은 정 반대의 모습이었다. 안개가 자욱하고 사방으로 드믄드믄 산 아랫마을과 바다가 그림처럼 보인다. 하지만 모진 비바람에 허리를 펴지도 못하겠고 연신 머리칼이 얼굴을 때려 고개도 들 수 없다. 

 

-만안재부터는 길이 험하고 더 가파르다. 안개와 바람 때문에 시야가 가려 언뜻 공포스럽기조차 하다. 이런 등산은 선자령에서 겪어봤지만 여긴 초행이니 좀 더 걱정스럽다. 예전엔 밧줄이나 자일을 이용했는지 바위 곳곳에 흔적이 남아있다. 드디어 가련봉 이정표가 보이고 땅 떠러 지지만 안개에 가려 지척이 구분 안 되는 가련봉 정상에 닿았다. 인간 승리다. 막바지엔 네발로 기어올랐으니 말이다.

 

가련봉 정상

 

- 내려가는 길은 훨씬 수월했다. 시간을 보니 왕복 4시간 걸렸다. 체력도 부족했고, 일지암에 다시 들러 사진 찍느라 허비한 시간도 포함한 것이니 다른 이들은 좀 더 빨리 다녀올 수 있을 듯하다. 암튼 너무 기뻐서 날아갈 듯 몸도 마음도 가벼워졌다. 등산은 나의 취미생활로 자리매김할 듯싶다.

원주시티투어 버스

 

강릉에서 원주로 이사온지 벌써 한 달이 되어 간다.

아직은 강릉의 바다와 산들이 눈에 선하지만, 이제 이곳에 정 붙이고 멋진 원주와 친해보고자

원주시와 원주문화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테마형 원주 시티투어"를 신청했다. 

 

시티투어는 매주 토요일 테마를 정해 버스를 타고 해설사와 함께 원주 근교를 돌아보는 멋진 프로그램이다.

5월 첫주에 '원주이야기' 둘째 주에 '특별한 사색' 셋째 주에 '남한강 역사문화길' 넷째 주엔'뮤지엄 산'을 둘러보게 된다.

나는 '성황숲'과 '뮤지엄 산'이 포함된 두 번째, 네 번째 주말 상품을 예약했다.

 

이 프로그램은 매월 첫 주, 원주문화원 홈피에 들어가 내용을 읽어 보고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찾아 신청 후 투어비를 입금하면 참가할 수 있다.

 

오늘 투어 순서는 반곡 역사관-용소막 성당-성황림-고판화박물관이다.

 

1. 반곡 역사관

-반곡 역사관은 '강원 원주 혁신도시 조성사업' 과정에서 발견된 유적을 모아 전시하는 공간이다. 혁신도시 조성사업이 확정된 이후 3년간 발굴작업을 통해 신석기시대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까지 다양한 역사자료가 발굴되었다. 반곡동은 지형이 소반처럼 생겼다 하여 반곡(盤谷)이라는 지명이 붙여졌다고 한다.

 

5천 년 전 신석기시대의 집터 흔적, 집안의 불자리 흔적과 토기를 통해 반곡의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자취를 엿볼 수 있다.  3천 년 전 청동기시대에는 사각형 모양의 집터가 발견되었고, 여기에서 청동기시대의 토기, 석기, 불 땐 자리들을 발견하였다.

 

원주는 삼한의 하나였던 마한의 소국 중 하나였고, 신라 통일 후 북원경으로 불리게 된다. 원주라는 지명은 고려 태조 때 붙여졌고 태조 4년 강원감영이 설치되어 강원도의 수부도시가 되었다. 반곡 유적지에서는 고려~조선에 걸친 다양한 삶의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기와가마, 고려의 돌 넛 무덤, 조선시대의 배수로 등이 그것이다

 

 

2. 용소막 성당(강원 유형문화재 106호)

-원주 용소막 성당은 횡성의 풍수원성당, 원주 성당에 이어 세번째로 건립되었다. 용소막은 용의 발톱이란 뜻이라고 한다.

 

 

 

3. 성남리 성황 숲(천연기념물 제93호)

-이 숲은 神이 산다고 믿어지는 곳으로 마을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치악산의 성황신을 이곳에 모시고 제사를 지내왔다고 한다. 숲에는 복자기, 귀룽나무, 느릅나무 등 50종류의 목본류가 있고 복수초, 꿩의 바람등 100여종의 초본류가 자라고 있다.

마을사람들은 성황당 앞을 가르는 길을 중심으로 서쪽은 신이 살고 있는 영역이라 믿고 신성시한다. 신의 영역에는 신목인 전나무를 제외하곤 침엽수가 자라지 않는다고 한다.

 

성황당에서는 해마다 음력 4월 8일과 9월 9일에 성대하게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사월 초파일에 성황제를 지내는 일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한다.

일반인들은 이날 이외에는 이 숲에 들어가는 것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다.

내가 투어를 신청한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었다.

성남리 성황숲의 성황당

 

 

4. 고판화 박물관과 한선학 관장(명주사)

-어린 시절 한선학 관장은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서서'로 유명한 최순우 선생 집에서 하숙을 했었고

그것이 인연이 되었는지 동국대 미대에서 조각을 전공했다고 한다.

양양 낙산사에서 출가했고, 군종장교로 복무 중 결혼하여

현재는 대처승으로 2003년 치악산 남쪽의 사찰 명주사와 함께 고판화 박물관을 열었다.

 

"고판화는 인쇄문화의 꽃"이라 하는 관장은 중국 여행 중 수집에 눈을 뜨게 되었고

불교의 무소유와 배치돼 딜레마를 겪었으나 지금은 불교미술 전공자들의 필답 코스로 자리매김한 박물관의 관장으로, 고판화라는 미지를 개척하는 일에 온 힘을 쏟고 있다.(중앙일보 정리 2017.6.17일)

 

이곳에서는 2021년 6월까지 "마음의 백신-아시아 다라니와 부적"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오늘 관장에게 직접 해설을 듣고 판화체험을 했는데, 일본에서 역병을 물리친 액막이 대사로 유명한 신라인 고승 '간삼'대사의 '각대사'를 찍었다.

예나 지금이나 인간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역병을 물리치려는 노력의 일환인 부적이 코로나19를 물리쳐 주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