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동백을 보러 백련사에 갔다가

여름에 배롱나무를 보러 다시 오리라 다짐했다.

 

그날, 붉디붉은 동백을 실컷 보고

지친 다리도 쉴 겸 '만경 다실'에 기대앉아

뜨거운 대추차를 시켜놓고 물끄러미 밖을 바라보다가

그만 창 앞에 오도카니 서 있는 배롱나무를 보았기 때문이다.

 

주인장에게 물어보니, 아니나 다를까

배롱나무에 꽃이 피면 

새벽에 집을 나서 호젓하게 꽃사태를 즐길 만큼 장관이라 하신다.

물론 그즈음은 빨간 동백 때문에 여간 행복하지 않다고 미소 짓는 모습도

나로 하여금 여름을 기약하게 만들었고...

 

하여,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 여름,

새벽에 차를 몰아 그 먼길을 한치 의심도 않고 달려갔다.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동백은 백련사에서,

가장 심장을 두근거리게 한 배롱나무꽃은 또 백련사에서 보았다.

 

백일홍 보다가 지친 다리를 쉴 겸

다시 또  '만경 다실'에 앉아 찻잔을 앞에 놓고

봄에 눈도장 찍은 그 자리에서 작년보다 훨씬 더 많이 피었다는 배롱나무꽃을 본다.

 

멋진 배롱나무 자태에 지나가던 스님도 포즈를 취해 주시고,

찻집 사장님은 손님 뒤처리를 부리나케 하시더니,

배롱나무 곁을 천천히 돌다가, 우러러보다 하시며 꽃사태를 만끽하신다.

 

평소 잘 안 입는 하늘거리는 원피스에 챙이 넓은 모자를 쓴 나에게

사진작가분들이 모델 좀 하라는 간청(?)에 못 이겨

그만 나도 붉은 꽃 자락 한곁에서 폼을 잡으며

뜨거운 여름,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감격의 '배롱 투어'를 마무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hyl2OBBksw 

 

 

 

여름의 무더위와 매미 울음소리를 듣고 피는 꽃이 있다.

배롱나무, 백일홍이다.

 

이사 한 이후로 아직 이 낯선 동네에 배롱나무가 어디 있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그래서 늘 마음속에 피워두곤 했던 남도의 배롱나무를 찾아본 것이다.

 

담양에 있는 '일일레저타운'은 이미 사진 하는 사람들에겐 널리 알려진 곳이다.

하지만, 때를 맞춰야 볼 수 있는 게 꽃 아닌가!

도착한 날, 이곳 백일홍은 만개했다.

여름꽃, 백일홍!

반영이 있어 더욱 아름다웠다.

 

 

 

 

여름이 아무리 덥다기로 나는 산수국 예찬을 미룰 수 없어 '한국 자생식물원'을 찾았다.

지난번 지인을 동반하고 갔을 때 개화 전이라 봉우리만 조금 있어서 어찌나 미안했던지...

 

이번엔 적중했다.

다음 주 까지가 절정일것 같다.

요샌 수국의 종류도 많아졌고 값비싼 수입 수종이 더해 카페나 야외정원, 유명 음식점에까지 심다 보니 아주 흔해졌다.

하지만, 아무렴 산에서 보는 수국만 할까! 

암튼 산수국을 보고나니 올여름 더위가 바야흐로 무르익어가는 느낌이다.

 

'한국 자생식물원'에 입장하다가 한 가지 소식을 들었다.

자생식물원 주인이 이곳을 국가(산림청)에 기부하기로 했다는 것. 

그래서 당분간 입장료도 안 받는단다.

 

지난번 포스팅에 자생식물원에 관한 이야기를 조금 써놓았는데,

일이 이렇게 된 것이 뭔가 아쉽기도 하고 주인장의 결단이 존경스럽기도 하고 그렇다.

그래도 내년 이맘때 별일이 없으면 나는 또 이곳을 방문할 것이다.

 

사죄하는 아베상 뒤편에 수국이 만발한 모습이 이곳 자생식물원 최고의 관전 포인트다.

 

 

 

능소화를 색연필로 그려보겠다고 끄적대다가 급기야 새벽에 차를 몰아 외암 민속마을을 찾았다.

비 소식이 있었지만 화창하고 더운 날씨,

능소화는 새벽이슬과 아침햇살을 받아 찬란하게 빛나고 있었다.

이른 시간이지만 벌써 도착한 진사들의 카메라 셔터 소리.

작은 민속마을의 진풍경이다.

 

벌써 절정을 지나고 있는 능소화는 이제 한 계절을 마무리하는 듯하다. 

모든 꽃이 다 다른 죽음의 의식을 치르지만, 

정호승 시인의 시처럼 능소화는 동백처럼 툭 하고 온몸을 내 던진다.

 

천천히 걸으며 돌담과 어우러진 능소화를 눈에 담고 돌아왔다.

 

후기

이곳 민속마을 안에 있는 '신창댁'에서 점심으로 청국장찌개를 먹었다. 주인이 밥상을 차려주면 9천 원, 셀프면 5천 원이란다. 내 입엔 음식이 짜서 반찬과 찌개를 많이 남겼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