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상은 1917년 9월 17일 아버지 윤기현과 어머니 김순달 사이에서 태어났다.

예향 통영의 품에서 자란 윤이상은 13세 무렵 자신의 작품이 영화관에서 연주되는 것을 듣고

작곡가의 꿈을 키웠다.

1935년 일본 오사카 음악학교에 입학하여 2년간 작곡을 배우는 등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공부했다.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직전에 귀국하여 항일활동 중 1944년 체포되어 두 달간 옥고를 치렀다.

1967년 유럽에서 작곡가로 입지를 굳혀가던 윤이상은 국내 정치의 희생양이 되었다.

중앙정보부에 의해 서울로 강제 납치되어 소위 동베를린 사건이라 불리는 간첩 사건에 연루되어 기소되었다.

1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최종심에서 10년 형으로 감형되었다.

 

옥중에서도 창작은 계속되었다. '나비의 미망인''율''영상'을 완성했다.

'영상'은 4년 전 방문한 평안남도 '강서고분'에 대한 음악적 해석이었다.

 

2년간 지속된 감옥에서의 고문과 병고 끝에 독일 정부의 조력과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ㅎ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게으르기리게 티 등 동료 음악가 예술가들의 국제적인 항의에 힘입어

1969년 대통령 특사로 석방되었다.

 

2006년 국가정보원의 과거사진실규명위원회는 윤이상이 연루도;었던 동베를린 사건이 1967년 실시된 대통령 선거 부정 의혹에 대한 거센 비판 여론을 무마시키기 위해 과장되고 확대 해석되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윤이상 기념관 별채엔 그의 독일 집이 재현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그의 손길이 머문 가구와 집기들이 있다.

 

서양음악을 했지만 그는 한국인이었고 동양적 영감을 음악에 접목시키려 하였다.

그가 북한에서 고구려 벽화를 보고 만든 '영상'엔 도교사상이 녹아 있다.

음 하나가 완전한 우주임을 말하는 윤이상, 

그는 한국과 통영이 낳은 세계적 음악가임에 틀림없다. 

 

 

지난번 원주 옻칠 문화관을 둘러보고 옻(漆) 관련 공예와 문화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10여 년 전 통영 여행 중 '통영 옻칠 박물관'에 들렀다가 자개작품 전시를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어

여행 중에 들러보았는데

마침 통영은 제1회 통영 국제 트리엔날레가 열리고 있었다.

게다가 이곳 통영 옻칠미술관에서도

거장 김성수 선생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어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

 

2022 제1회 통영 국제 트리엔날레는 주제인 <통영 : 섬 바람>에서 밝히는 바와 같이 공간과 사람, 시간 사이에서 태어나는 예술의 순환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통영을 대표하는 전통적인 예술인 나전칠기는 현재까지 많은 예술가들 손에서 계승 발전하여 옻칠예술로 이어져 오고 있다.

그중 김성수 작가는 통영 출신으로 70여 년이 넘는 작업세계를 통하여 한국 옻칠예술을 알리기 위하여 국내외에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이번 전시는 현대옻칠예술을 대표하는 김성수 작가의 작품을 통하여 70여 년간의 작업세계와 그의 동료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주최 : 통영시

 

거장 김성수 작가는 1951년 국립 나전칠기 기술 양성소 1기 졸업생으로 70여 년을 한길을 걸은 작가이다.

그림에 문외한인 내가 보더라도 얼마나 대단한 작품인지 감히 뭐라 표현하기 어렵다.

그 스케일과 섬세함과 화려함을 작품으로 승화시킨 작품을 직접 눈으로 봐야 한다.

통영에 가는 길이라면,

아니 지금 당장 통영에 가서 그의 작품을 보기 바란다.(2022년 5월 8일까지)

   

 

전혁림 기념관 주변은 전혁림 거리로 명명하고 있었다.

나는 주변에 교회앞에 겨우 주차를 하고 천천히 걸으며 이 작은 마을의 거리가

얼마나 아기자기하고 어여쁜지 감탄하며 어슬렁거렸다.

 

아침을 늦게 먹어 밥보다는 간식으로 뭘 먹을까 하다가 눈에 띈 오선채 비빔밥집의 호박죽!

바로 그거야 생각하고 문을 열고 들어서니 가게가 자그마한게 맛집처럼 보였다.

 

가게에서 먼저 눈에 띈것은 그림이 그려진 커튼과 내가 좋아하는 수국이 그려진 가리개.

호박죽을 시키고 다른 사람이 없기에 주인아줌마와 나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찹쌀을 갈아 직접 호박죽을 끓였다는 주인은 내가 '혹시 직접 그린 것'이냐고 묻자

이제 배우기 시작했다고 겸손해 하신다.

전혁림미술관을 보고 나도 미술에 대해 마음이 동했던 참이라

핸드폰에 저장해 둔 나의 졸작을 보여 주니

서로 관심사가 같아 스스럼없이 얘기가 통했다.

 

작은 음식점을 운영하며 소소하고 겸손하게 그림을 그리며

자신의 가게를 장식하는 주인의 마음이 너무 아름답다.

 

통영은 예술의 고장이 맞다!

 

통영의 아름다움에 하나를 더한 전혁림 미술관은 그 자체가 작품이다.

외벽은 전혁림 화가의 작품 5점, 아들 전영근 화가의 작품 5점을 20*20cm의 세라믹 타일 7,500 여개를 조화롭게 연결하여 부착했다고 한다.

사진보다 실제는 더 아름답고 내부 또한 정갈하면서도 아름답다.

 

" 본 미술관은 화백께서 30여 년간 생활하시던 사택을 허물고 바다의 길을 안내하는 등대와 전통사찰의 중요 요소인 탑의 형상을 접목하여 신축하고, 외벽은 화백의 작품을 타일에 옮겨 장식했으며 특히 3층의 외벽은 화백의 1998년 作 '창'이라는 작품을 재구성하여 11종의 도자기 작품을 조합한, 가로 10미터 세로 3미터의 대형 벽화로 장식되었다(2003년 5월 11일 개관"

통영은 요즘

2022 통영 : 섬, 바람을 주제로

전혁림 미술관에서는 바다, 그 영원한 빛 전혁림 특별전이 다음과 같이 열리고 있었다.(3월18일~5월8일)

1관 : 파블로 피카소&전혁림

2관 : 전혁림 아카이브

3관 : 영혼의 빛-통영을 그리다

 

화가 전혁림은,

1935년 형님이 일본 방문 중 동생 전혁림을 위해 모더니즘 미술잡지를 구입해 전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마티스와 피카소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고, 특히 피카소의 작품에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스스로 피카소를 스승 삼아 작품세계를 추구하였고,

이후 한국인의 민족정서가 배여 있는 조선 민화를 피카소의 작품에 대입해 보는 연구를 시작하면서 자신의 미술세계를 승화시켜 나갔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