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2002년. 7월.

 

사진을 배우기로 작정하고 사진선생님을 찾았다.

선생님은 수동카메라 fm2를 권유하셨고

나는 그해 5월 중고로 fm2와 105mm 2.8 렌즈를 구입했다.

간신히 초점 연습을 한 후 7월, 티베트로 떠났다.

 

그 당시 티베트는 중국에서 허가서를 받아야 갈 수 있었다.

북경에 도착 후 중국여행사를 통해 여행허가서를 받고 

티베트행 비행기를 타고 라싸에 내려 주의사항에 적힌 대로

목욕도 안 하고 세수만 겨우 한 채 이틀을 보냈다.

 

다이아막스가 고산증 약으로 불리던 시절이었다.

물론 잘못된 정보였지만 달리 방법이 없었고

나는 고산증 때문에 많이 힘들었다.

 

도미토리 방엔 나처럼 누워서 쩔쩔매고 헤매는 사람들이 꽤 여럿 있었다.

남쵸에 갔을 땐 더욱 심해서 타이레놀을 먹고도  밤새 두통에 시달렸다.

 

돌아오는 길에 담숭에서 우연히 말축제를 보고서야

겨우 좋아졌다.

 

라싸에는 장한종이라는 사람이 운영하는 유일한 한국식당이 있었는데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그분이 끓여주는 야크 소고깃국이 없었다면

나는 여행을 포기했을 것이다.

 

내가 티베트에서 꼭 보고 싶었던 조장을

인제대학교 의대 1학년 학생들과 함께 지프를 타고 가서 보았다.

조장을 보고 돌아오는 길에

학생 중 한 명이 식당에서 티베트 개에게 물리는 불상사가 생겼다.

광견병예방접종을 안 했을 것 같아 결국 그들은 여행을 그만두고

북경으로 가서 진료를 받았고,

별일 없던 걸로 기억한다.

 

고산증 때문에 너무 힘들어 탈진상태가 되었을 때

우연히 초원에서 만난 순례자가족이 내게 수유차를 건넸다.

아! 아직도 나는 그 맛을 기억하고 그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살아간다.

수유차는 내게 생명수가 되어 피로와 고산증에서 회복되었으며

그 힘으로 나는 남은 여행을 마칠 수 있었다.

 

티베트여행을 갔다 오니 주변에서 어떻게 갔느냐? 치안은 어떠냐?

고산증은 또 어떻게 치료했냐? 질문이 많았다.

지금 생각해도 많이 힘들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사진을 진지하게 대하는 출발점이 되었고,

티베트인들의 아픔을 목격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친절에 감사하기도 했다.

 

남겨진 사진으로 영상을 만들어 기억의 한계를 도우려 하지만

그래도 마음으로 전해진 그들의 따뜻함과 신실함,

그리고 나라를 잃은 울분은 사진으로 담기에 역부족이었다.

 

그들의 아픔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음을 안타깝게 여기며

티베트에 평화가 함께하길 기원해 본다.

 

영상은 유튜브를 참고하기 바란다.

https://www.youtube.com/watch?v=I4vyjGDVwTU 

 

 

 

엄마가 새로 이사할 아파트는

창너머로 아름다운 강이 보이는 멋진 곳이다.

 

강 건너편엔 새로 신도시? 가 들어서고 새 아파트며 고층건물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

 

젊은 사람들은 세를 얻어도 그쪽 강건너나 여주역 쪽을 선호한다지만

사실 엄마가 살게 될 이곳 아파트는

낡은 것 빼곤

모든 것이 만족스러운 곳이다.

 

암튼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한 덕에 새집으로 변신해서

엄마도 마음에 들어 하시니 다행이다.

 

우리 형제들은 이곳의 장점을

'강변뷰'와 '자전거길'이라고 의견통일했다.

 

이 집이 서울에 있었다면 백만불짜리라고

한껏 추켜세우며... ㅋㅋㅋ

 

며칠 전,

이른 새벽

처음으로 강을 걷기로 했다.

 

10분도 채 못 가서 해가 뜨기 시작했고

이 멋진 풍광을 혼자보기 아까워 기록해 두기로 했다.

 

여기는 남한강 상수원지역이라 쓰레기도 없고

벌레를 죽이기 위해 방제도 하지 않는단다.

 

물론 낚시도 금지.

 

그래서 그런지 너무 조용하고 깨끗해서 산책길이 즐겁다.

 

엄마집에 오면 해야 할 일이 하나 늘었다.

 

아침산책은 필수!

 

 

엄마가 새로 둥지를 튼 여주에 가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여주의 모습이

한편 아쉽기도 하고

한편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체념하기도 한다.

 

그래도 위안이 되는 것은

구도심을 중심으로는 아직도 사람 냄새나는 작은 도시의 정겨움이

남아 있다는 것.

 

며칠 전

시장골목을 어슬렁거리다가 

원주 구도심에 있던 작은 전시회와 거의 같은 모습의

'빈집예술공간'을 돌아보게 되었다.

 

별 기대도 없이 들어갔다가

나는 전시된 작품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대부분 1년여 동안 그림을 배운 분들 솜씨라니 믿어지지 않는다.

 

맨 위의 작품은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남자 주인공 클라크케이블이다.

너무 멋지다.

 

5월 20일까지만 전시를 한다고 한다.

 

 

2003년 1월 여행기록이다.

 

좀처럼 보기 힘든 소수민족들이

장날이면 저마다의 색으로 화려하게 꾸민 옷을 입고

산길을 돌아 나오거나

혹은 트럭을 타고 오는 장면은

지금 생각해도 장관이다.

 

혹시 장날이 아니면 어쩌나 싶어 추위에 몸을 떨어가면서

밤새 기다리면 그 기다림은

그녀들의 옷과

한껏 치장한 장신구를 보는 순간

눈 녹듯 사라지고 만다.

 

카메라를 보고 미소를 지어주는 그녀들의 상냥함과

편안함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가끔씩 그녀들의 옷을 입어보고 싶다.

그 옷을 입으면

나도 그녀들처럼 웃을 수 있을까?

 

낯선 이에게 도 하얀 치아를 보일 수 있는

무방비의 마음은 

삶의 단순함과 삶의 소박함때문일 것이라고

나는 미루어 짐작해 본다.

 

탐하는 마음, 계산하는 마음이 없을 때 

타인은 나의 친구가 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8J9J9akPWg&t=327s 

 

+ Recent posts